본문 바로가기
필사

필사의 뜻, 장점과 매력

by Amapola*✲゚*。 2025. 3. 21.

작년 부터 필사를 시작했는데 꾸준히는 못 하지만 그래도 기억에 남는 문장들이 있으면 기록을 해두려고 하는 편 이다.

필사를 하려고 한건 아니고 다이어리 쓸때 쓰다보니 어쩌다 이렇게 되었는데 요즘 이게 유행 처럼 되어가고 있다는 느낌을 받아서 이왕 생각난 김에 필사에 대한 의미와 장점에 대해 적어 본다. 

 필사의 뜻 

필사를 네이버에 검색하면,

 

필사 = 베끼어 씀. 

 

이라고 간단명료하게 나온다. 그렇다, 필사는 글을 손으로 베껴 쓰는 것을 말한다. 

한자로 풀어쓰면 '필(筆)'은 붓 또는 펜을 의미하고, '사(寫)'는 베끼다, 옮겨 적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필사의 장점, 필사를 왜 할까? 

1. 필사가 베껴쓴다는걸 뜻한다 했다. 베껴쓴다는 걸 생각했을때 어릴적 벌로 깜지쓰기를 해본 기억들이 있지 않을까 싶다. 비슷하게는 시험 공부를 하거나 노트 정리를 할때 그대로 종이 위에 내용을 옮겨적거나. 

이와 같이 문학작품이나 좋은 글들을 손으로 직접 베껴 쓰면서 문체와 내용을 익히는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작가나 시인의 글을 한 글자 한 글자 옮겨 적으며 그들의 표현과 문장 구조를 체득하는 과정이라 볼 수 있겠다. 

이로써 글쓰기 실력의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2. 글을 옮겨 적는 과정이 그 흐름에 대한 집중 없이 가능하겠는가. 필사는 글에 집중하고 몰입하는 능력을 키워준다. 

이런 몰입감에 성취감을 느끼고 즐기고 싶은 분들은 필사를 취미로 강력 추천한다.

건전하면서 손쉽고, 누구나 할 수 있으니까.

 

3. 1번과 비슷한데 한 단계 더 나아가 글 내용을 더 심도있게 이해하고 오래 기억할 수 있는 힘도 기를 수 있다. 

글쓰기 뿐만이 아니라 독서 능력도 키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4. 손글씨체가 예뻐질 수 있다. 다이어리를 쓰는 경우도 그렇지만 이왕이면 깔끔하고 보기 좋게 쓰고 싶지 않나. 

또박또박 쓰기엔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한 페이지 써내려가 완성된걸 보면 그렇게 뿌듯할 수 없다.

 

5. 1~4번의 모든 과정을 통틀어 또다른 형태의 명상이 될 수 있다. 독서와 마찬가지로 몰입과 집중이 안정감을 안겨줄 것이다.

 

6. 글 솜씨 뿐만이 아니라 언어 자체의 감각을 깨워줄 수 있다.

(언어의 리듬, 흐름, 표현력은 꼭 글 뿐만이 아니라 말로하는 대화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니까.)

 

 

 ※이어서 필사 하는 방법에 대한 포스팅은 아래를 참고 

필사 방법과 효과, 필사는 어떻게 하는 거야?

 

필사 방법과 효과, 필사는 어떻게 하는 거야?

지난번 필사의 뜻과 장점에 대해 나열해 보았는데,그럼 필사는 어떻게 하는 걸까? 에 대해 포스팅 해보겠다.  필사는 이름 만큼 어렵진 않다. 아래를 따라서 시작해보자.  1. 기본 준비물 준비

pompom336.tistory.com

디지털 필사 vs 아날로그 필사 비교해보기

 

디지털 필사 vs 아날로그 필사 비교해보기

앞선 포스팅에선 아날로그 필사의 뜻과 방법에 대해 다루었는데 꼭 수기 작성처럼 타이핑으로 하는 디지털 필사도 가능하다 보니 이 중 어떤 걸 선택해서 할지 고민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 같다.

pompom336.tistory.com

 

 

🙋‍♀️개인적으로 필사를 하며 가장 좋았던 점

솔직히 필사로 인해 내 글쓰기 솜씨가 좋아졌다거나 언어 능력적으로 무언가 월등히 좋아졌다는건 못느낀다ㅎㅎㅎ

그렇지만 위의 번호에서 꼽아 보자면 2번, 3번, 5번 정도.

한 번 노트를 펼치고 글을 베껴가며 적어내려가기 시작하면 집중이 생각보다 빨리, 쉽게된다.

이렇기에 집중력을 키우고 싶은 분들이라면 추천하고 싶다.

 

책을 읽고 통으로 요약하는 방법도 있지만, 그것보다는 간단 명료하게, 딱 기억하고 싶은 것만 남기고 싶은 경우에도 이 필사가 좋은 방법이다. 손으로 옮긴 문장들은 그만큼 더 내 생활속에 녹아들어 문득 생각이 나고 책을 읽은 보람을 느끼게 해줄 것이다.

'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사 방법과 효과, 필사는 어떻게 하는 거야?  (1) 2025.03.22